지역 영화 문화 활성화는 지역 영화 공동체의 조직부터!

영화정책 2013. 6. 27. 16:07

부산국제영화제가 시민참여 씨네프로그램 팝콤을 7월 1일부터 시작한다고 합니다. 

시민들이 직접 프로그래머로 참여하고, 토크 프로그램도 진행하는 프로젝트입니다.


페이스북 페이지 http://www.facebook.com/biffpopcom

블로그 http://blog.naver.com/biffpopcom/


독립/예술영화관, 지역의 공동체 상영, 지역 문화예술회관 등에서 향후 진행될지 모를 정기상영회 등에 외국의 '필름 소사이어티' 같은 프로그램이 도입되어야 한다고 오랫동안 생각해 오고 있었습니다. 


관객들이 그저 영화관에 가서 주어진 영화만 보는 것이 아니라,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이 있어야 하고, 무엇보다 영화관이 아닌 공간에서 진행되는 (정기) 상영회의 성공을 위해서는 자발적으로 영화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모이는 그룹을 형성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래야 비전문적인 영화 상영 공간에 사람들이 조금 더 모이고, 프로그램이 풍성해 질 수 있을테니까요. 


외국의 경우 필름 소사이어티의 역사는 매우 깁니다. 영국에서 영국필름소사이어티연합 (British Federation of Film Societies / BFFS)에서 일하시는 분을 만난 적이 있는데요. 이 조직이 시작된 게 1940년대이고, 전국에 걸쳐서 지역 사회가 원하는 영화를 상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정책 개발을 하는 일들을 하고 있다고 하더군요. 


상업적인 영화관과 다른 영화 경험을 제공하고, 영화관이 없는 지역이라 하더라도 정기적으로 영화를 볼 수 있게 하는 문화적인 사회 운동을 하고 있는 겁니다. 


미국이나 일본 등에는 협동조합 영화관 등이 있는데, 왜 협동조합 전통이 오랜 유럽에는 협동조합 영화관 같은 게 없을까 생각해 본적이 있습니다. 추측컨데 이유는 오랜 '필름 소사이어티'의 존재 때문일 겁니다. 이미 비영리적으로 지역 사회에서 영화를 보는 일들을 해왔기 때문에 굳이 영화관이라는 비즈니스의 형태로 협동조합을 따로 만들 필요가 없었던 것은 아니었을까 상상해 보았습니다. 


이미 지역에는 영화에 대한 요구와 욕구들이 있습니다. 이 요구와 욕구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 정책은 답을 내놓아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예산을 가지고 찾아가서 영화를 상영하며 해소하는 방법도 있을테고, 다른 방식으로는 그 요구와 욕망들을 조직하도록 지원하고 조직된 요구와 욕망들이 꾸준히 실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법도 있을 겁니다. 


전자가 시혜에 기반한 정책이라면, 후자는 자발성에 근거한 정책이라고 할 수 있겠지요. 


단순히 영화 상영을 한다는 생각만 할것이 아니라, 지역 내의 활동들을 진작 시키는 정책과 프로그램들이 필요한 게 아닐까 싶네요. 


예전에 지역영상위원회와 지역문화재단들이 다양성영화(?) 정기상영회를 계획한다는 것에 대해 쓴 "지역 독립영화 상영 공간 및 기회 확대 정책에 대한 제언"에도 강조했습니다만, 영화를 상영하는 사업을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성공하려면 그 영화를 보고 싶은 사람들의 요구와 욕망을 조직하는 방법을 찾아야 하겠지요. 


또 글이 주장을 담고 말았네요. 흐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