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독립영화를 통해 오늘과 한국의 독립영화를 생각하다.

독립영화 2009. 6. 24. 11:12

역사적 사건은 종종 커다란 변화를 가져옵니다. 그 변화는 한꺼번에 쓰나미처럼 오는 것이라기보다 아주 천천히 잠식하듯 진행됩니다. 당장에는 변화를 느낄 수 없지만, 오랜 시간이 흐른 뒤에 변화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게 됩니다. 중국 영화의 변화는 이런 현상의 하나의 예가 될 수 있습니다. 중국 영화는 지금으로부터 20년 전에 있었던 ‘천안문 사태’ 이후 변화하였습니다. 바로 독립영화의 등장입니다.

중국은 영화의 제작, 수입, 수출, 배급, 상영이 모두 국가의 허가를 거쳐야만 가능합니다. 1989년 천안문 사태 이전까지 제작되고 상영된 모든 영화들은 이런 제도 아래 만들어진 영화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하지만 천안문 사태가 일어난 이후 다른 무엇이 시작됩니다. 1990년대 초반 장위엔의 <마마>로부터 시작된 이것는 왕샤오슈아이, 허지엔준, 우원광 등을 지나 지아장커를 경유하며 중국 영화에서 무시하지 못할 하나의 경향이 되었습니다. 바로 ‘중국 독립영화’의 등장입니다.

한국에서 중국영화는 아주 오랜 시간 동안 ‘홍콩영화’와 동의어였습니다. 중국 영화의 경우 수교가 단절된 공산국가의 영화였으므로 아주 오랜 시간 동안 한국에 소개되지 못했습니다. 서울아시아경기대회와 서울올림픽 이후 문화 교류가 시작되면서 1980년대 후반 <붉은 수수밭> 등을 필두로 장이모우, 첸카이거 등 (북경영화학교 1982년 졸업생들을 지칭하던) ‘5세대 영화’ 영화가 소개되기 시작했고, 이 영화들이 예술영화 관객들을 중심으로 큰 호응을 받으면서 중국영화는 홍콩영화와는 다른 영화로 인식되기 시작했습니다. 이후 중국의 새로운 감독들의 영화도 간간히 소개되어 왔는데요. ‘5세대’의 다음 세대라는 뜻으로 ‘6세대’ 감독으로 불리는 지아장커, 로우예 등의 영화가 영화관을 통해 관객들과 만났습니다. 하지만 5세대 영화와 달리 6세대 영화는 한국에 많이 소개되지 못했습니다. 여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허가제인 중국의 영화 제도 밖에서 제작된 영화라는 것이 상당한 이유일 듯 합니다.

민주화를 요구했던 천안문 시위가 실패한 이후, 중국 내 자유로운 흐름은 막을 내렸고 검열 등을 통한 이데올로기 통제가 강화되었습니다. 이 국면에서 과거에 제도 내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창작했던 영화감독들과 새로운 영화 인력들은 ‘제도 안에서 체제 친화적인 영화를 만들 것인가, 아닌가’라는 선택을 강요받게 되었고, 이 과정에서 제도 밖에서 영화를 만드는 영화인들이 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이것이 ‘중국 독립영화’가 등장하게 된 배경입니다.

중국 독립영화는 제도 내에서 만들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공식적으로 상영, 배급되지 못합니다. 그래서 ‘지하영화 underground film’로 불리기도 합니다. 이 ‘지하 영화’라는 경험은 1980~90년대 한국 독립영화의 경험을 떠올리게도 합니다. 만들기는 하나 상영되지 못했던 영화, 제도 밖에 존재하면서 관객들을 만나려고 했던 영화, 금지된 영화라는 경험은 한국과 중국의 독립영화의 공통된 경험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한국 독립영화는 2000년대 들어 금지의 대상에서 진흥의 대상으로 바뀌었고, 중국 독립영화는 여전히 제도 밖에서 존재하나 존재하지 않는 영화 남아있습니다.

과거 공통의 경험은 있으나 지금은 다른 상황에 놓여있는 두 나라의 독립영화의 상황은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합니다. 영화가 제도와 상황만의 산물은 아니지만, 다른 제도와 상황 아래 서로 다른 길을 걸어온 두 나라의 독립영화는 지금 무엇을 상상하고 있으며, 무엇을 관객과 나누려고 하고 있을까요? 쉽게 극장에서 접하기 어려운 중국 독립영화들을 상영하는 중국 독립영화 특별전을 통해 중국 독립영화가 무엇을 상상하고 있는지, 무엇을 소통하려 하는지에 대한 한 자락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꼭 비교하자는 것은 아니지만, 다른 경험을 통해 오늘의 한국 독립영화에 대해 반추하는 기회가 될 수도 있지 않을까 기대 해봅니다.

다시 처음의 이야기로 돌아가서, 역사적 사건은 종종 커다란 변화를 낳기도 합니다. 오늘 여기의 시간들은 후에 어떤 변화를 가져 오게 될까요? 그리고 미래의 한국 독립영화에게 어떤 변화의 흔적을 남겨줄까요? 지금 미래의 모습을 상상하는 것은 절실하게 필요한 일은 아닐 수도 있겠습니다. 그렇지만 바라는 미래를 상상하고 성취하기 위한 고민들과 그것들을 영화적으로 재구성하려는 노력들은 당연하게도 필요한 일일 것입니다.
INDIE SPACE ON PAPER. 20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