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영화 블랙박스] 관객 공동체가 해답 - 비주류영화, 단발성 상영만으로는 부족하다

독립영화 2013. 11. 11. 18:12

독립영화나 예술영화 등 비주류영화가 일반 영화관에서 상영되지 못한다면 대학이나 관공서, 문예회관이나 시민회관, 혹은 미술관, 도서관 같은 공공기반시설을 이용해서 상영하자는 제안이 있다. 


실제 외국의 경우 대학이 독립영화 등 비주류영화의 전통적인 배급 기반이자 상영장소이기도 했고, 커뮤니티 센터나 홀 등을 활용한 다양한 상영 활동이 진행되어 왔기에, 이런 사례들을 참조하는 것은 비주류영화 상영 활성화를 위한 적절한 정책 대안이라 할만하다. 게다가 한국 독립영화는 그동안 대학은 물론, 공공문화기반 시설이나 민간 문화공간 등을 활용해 공동체 상영을 해왔기에 그리 낯선 것도 아니다.


이미 이런 제안들은 정책에 반영되고 있다. 2012년부터 영상미디어센터를 활용한 ‘우수영상물 지역동시상영’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경기도가 추진하는 ‘G-시네마’사업에도 영상미디어센터는 물론 한국만화박물관, 경기도박물관, 경기도미술관이 참여하고 있다. 그리고 인천영상위원회는 지역도서관, 문화원 등과 함께 ‘다양성영화 공공상영관’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6월에는 한국영상위원회와 전국문화재단연합회가 비주류영화 상영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하는 협의를 시작했다고도 한다. 이렇게 지역별로 추진되는 사업이 확대되고 전국적인 사업이 본격화된다면 비주류영화의 상영 기회는 획기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단순히 상영 공간이나 기회를 늘이는 것만으로는 충분치 않다. 공공시설을 활용한 상영사업의 경우, 유휴 공간을 활용하는 방식으로만 접근해서는 곤란하다. 사업이 성공하려면 공간 특유의 기획이 담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사업을 담당할 전문 인력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꾸준한 사업의 실행도 중요하다. 1회적 상영으로는 지역 주민에게 비주류영화 상영 사업을 인지시키지 못할 것이다. 꾸준히 상영하면서 적극적으로 홍보하며 관객의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이렇게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면, 다음 계획이 추진되어야 한다. 적극적인 관객개발이다. 관객개발의 1차적 방법은 비주류영화를 보고자 하거나 좀 더 폭넓은 (영화)문화의 체험을 하고 싶어 하는 관객들을 묶어내는 것이다. 단순히 상영회에 관객을 오게 만드는 것뿐 아니라, 관객들의 공통된 문화적 필요와 요구들을 조직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수동적인 관람 외에, 사업에 관객이 참여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참여 기회를 통해 보다 적극적인 관객을 발굴하고, 이를 매개로 관객 공동체가 형성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애초에 참조한 외국의 사례는 단순히 상영회를 개최한 것만은 아니다. ‘필름 소사이어티’라는 자발적인 관객 공동체가 바탕이 되었기에 활발하게 지속될 수 있었다. 정책이 참조해야할 점은 바로 이것이다.


씨네21 (2013.10.14.)

: